GET과 POST는 HTTP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버에 무언가를 전달할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GET은 주소줄에 값이 ?뒤에 쌍으로 이어붙고 POST는 숨겨져서(BODY안에) 보내진다.


GET은 URL에 이어붙기 때문에 길이제한이 있어서 많은양의 데이터를 보내기 어렵고 POST는 많은 양을 보내기에 적합하다.


즉 http://url/bbslist.html?id=5&pageNum=2 같은 것이 GET 방식이고 form을 이용해서 submit을 날리는 형식이 POST이다.


그렇다면 언제 GET을 사용하고 언제 POST를 사용해야 할까?


예를들면 id값을 넘겨서 게시판의 리스트를 불러온다고 가정하면 당연히 GET을 사용할 것이고 게시판에 글을 작성한다면 POST를 사용할 것이다.


전달해야 할 데이터가 많으면 고민없이 POST를 사용하겠지만, 양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고민이 된다.


GET은 가져오는 것이고 POST는 수행하는 것이다.


GET은 SELECT적인 성향이 있다. 즉 GET은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준다거나 하는 용도이지 서버의 값이나 상태를 바꾸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게시판의 리스트라던지 글보기 기능이다.


POST는 서버의 값이나 상태를 바꾸기 위해 사용한다. 글쓰기를 하면 글의 내용이 DB에 저장이 되고 수정을 하면 DB값이 수정이 된다. 


기본적인 개념을 확실히 알고 가자!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 이란?  (0) 2018.03.22
SPRING 이란?  (0) 2018.03.22
apache와 apache tomcat의 차이  (0) 2018.03.21
SSL 이란?  (0) 2018.03.21
Servlet 이란?  (0) 2018.03.21

+ Recent posts